https://realmathematics.tistory.com/3
교사의 생애 소득 계산 #1. 교사의 소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나는 현직 교사다. 나름 열심히 공부했다고 자부하고, 괜찮은 대학을 나와 열심히 임고준비를 해서 붙었다. 그래서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고 있고, 아이들과 즐거운 소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가
realmathematics.tistory.com
위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그래서 총 생애소득이 얼만데? 라고 궁금하신 분
교사 → 다른 직업 , 다른직업 → 교사 를 하고 싶은데, 이동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옳은 것인지 궁금하신 분
들을 위해 표로 정리해 보았다.
참고로 #1. 게시글에서도 이야기했다시피 일부 부분에서 뭉뚱그린 부분이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란다.
1. 여성, 교직이수(비사범대 학부생)
26세 취직 기준 약 18.4억을 수령한다.
2. 여성, 사범대(사범대 학부생)
26세 취직 기준 약 18.7억을 수령한다.
3. 여성, 교육대학원생(석사기준)
29세 취직 기준, 약 17.2억을 수령한다
교직이수와 사범대, 교육대학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무래도 초임호봉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경력 여자의 경우 교직이수는 8호봉, 사범대는 9호봉, 교육대학원은 10호봉으로 시작하게 된다.
(이 때 사범대 → 교대원 이나 다른 단과대 → 교대원 이나 상관없이 교대원 졸업 시 10호봉으로 시작하게 된다. - 교육부예규 제 70호)
+ 교육대학원의 경우 2년 6개월의 공부를 더 해야하므로 29세 취직으로 가정하였다.
Q. 만약 내가 26세가 넘었는데 or 26세가 되지 않았는데 취직한다면 어떻게 계산해야할까? 게시물 가장 하단에 작성하도록 하겠다.
4. 남성, 교직이수(비사범대 학부생)
28세 취직 기준, 약 17.6억을 수령한다.
5. 남성, 사범대(사범대 학부생)
28세 취직기준, 약 17.9억을 수령한다.
6. 남성, 교육대학원생(석사기준)
31세 취직 기준, 약 16억을 수령한다.
남성과 여성은 가장 큰 차이라 함은 아무래도 군대일 것이다.
다행히도 군대를 갔다온 기간은 호봉으로 인정이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생애소득이 적은 이유는
고정된 정년 내에서 취직을 하는 시점이 여성보다 늦기 때문이다.
만약 내가 취직 시점이 본 표보다 빠르거나 느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맨 마지막 줄을 기준 나이와의 차이만큼 더하거나 빼주면 된다.
예를 들어 내가 여성, 교육대학원생인데 39살에 취직을 시작했다면,
위의 3번 표를 참고하여 29살을 기준으로 본다면 10년 늦은 것이므로
아래에서 10개줄을 제하고 계산해주면 된다.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위 표에서 39살에 10호봉, 40살에 11호봉, ....이 되어서 아래에서 10개줄을 지운 34호봉일 때 정년을 맞이하게 된다.
생애소득은 1719366668에서 아래 10줄의 총 실수령 연봉(노란칸)을 빼주면 되겠다. 이 예시에서는 약 10.9억원 정도의 생애소득이 나올 것이다.
이 표를 통해 해석할 수 있는 점은
임용은 빨리 되는 것이 크게 유리하다는 점이다.
1년이 늦어질 때마다 손해보는 금액은 10호봉의 실수령이 아니다.
정년 직전의 내 연봉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1년이 늦어지면 6000만원을 손해보는 것이라 생각하며 공부했다.
이 글을 보는 임고생분들은 화이팅이시고
교사분들은 인생 계획 꼭 잘 이루시길 바라며
이직 준비중이신 분들은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각 숫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https://realmathematics.tistory.com/3
교사의 생애 소득 계산 #1. 교사의 소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나는 현직 교사다. 나름 열심히 공부했다고 자부하고, 괜찮은 대학을 나와 열심히 임고준비를 해서 붙었다. 그래서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고 있고, 아이들과 즐거운 소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가
realmathematics.tistory.com
를 참고해보시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생애 중 2/3만큼 담임을 맡는다고 가정하여 수당 계산하였습니다.
> 부장수당은 따로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너무 천차만별이기에..
> 남성은 1년 9개월 군대를 간다고 계산하였습니다. 1년 6개월, 2년인 분들도 계시지만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을 것입니다..(거기까지 세분화하기에는 너무 표가 많네요..)
> 시간외근무수당은 1, 2, 7, 8월은 제외했습니다. 방학으로 근무일수 15일 한참 이하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 남성 군 소급 기여금은 발령나자마자 일괄납부한다는 가정입니다.(그래야 가장 이득이니..)
> 남성 호봉은 1년 9개월 기준, 7월에 상승한다는 가정하에(제가 그렇습니다.) 6개월은 이전호봉, 6개월은 이후호봉으로 계산하였습니다.
'일상경제 > 월급과 연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생애 소득 계산 #1. 교사의 소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0) | 2023.02.10 |
---|